MCP vs A2A vs ACP

image.png

image.png

image.png

image.png

요점 비교

속성 MCP (Model Context Protocol) A2A (Agent-to-Agent Protocol) ACP (Agent Communication Protocol)
개발자 Anthropic Google DeepMind & 파트너 IBM / BeeAI
도입 시기 2024년 11월 6 2025년 4월 2 2025년 4월/5월 2
주요 목적 AI를 외부 도구 및 데이터 소스에 연결 AI 에이전트 간 통신 및 협업 가능 특히 로컬 환경에서 에이전트 간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 및 작업 위임
통신 모델 클라이언트-서버 (AI 호스트/클라이언트에서 MCP 서버로) 피어 투 피어 (클라이언트 에이전트에서 원격 에이전트로) 오케스트레이터 주도, 분산, 이벤트 기반
핵심 상호 작용 도구 탐색, 함수 실행, 데이터 검색 에이전트 탐색 (에이전트 카드), 작업 요청, 메시지 교환, 작업 위임 작업 생성, 위임, 진행 상황 추적, 상태 관리
통신 양식 주로 구조화된 데이터, 파일, 상황별 프롬프트 양식에 구애받지 않음: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구조화된 데이터 다중 양식 메시지, 자연어 입력/출력
기반 표준 JSON-RPC 2.0 13, HTTP + SSE, Stdio HTTP, SSE, JSON-RPC RESTful API, HTTP 패턴, JSON-RPC
주요 기능 범용 도구 연결, 컨텍스트 인식, 보안 양방향 연결, SDK 에이전트 카드, 양식에 구애받지 않는 통신, 보안 비동기 작업, 프레임워크 상호 운용성, 구성 가능성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 작업 위임, 상태 저장 세션, 관찰 가능성, 기능 토큰, 로컬 우선 최적화
일반적인 사용 사례 CRM 데이터 검색, IDE 컨텍스트 접근, 자연어 데이터 접근 (AI2SQL), 다중 도구 에이전트 워크플로우 다중 에이전트 협업 (예: 번역가-일러스트레이터, 대출 처리), 교차 플랫폼 에이전트 통신 엣지 컴퓨팅, 로봇 공학, IoT, 개인 정보 보호에 민감한 환경, 기업 자동화 워크플로우, 보안 사고 대응
강점 표준화, AI 유용성 향상, 플러그 앤 플레이, 빠른 채택, 개발 간소화 상호 운용성, 확장성, 유연성 (작업 기간/양식), 기본적으로 보안 로컬 우선 최적화, 강력한 보안, 감사 가능한 작업, 동적 탐색, 글루 코드 감소
약점 보안 취약성 (프롬프트 주입, 데이터 유출), ID 관리 모호성, 상태 비저장 API를 위한 상태 저장 프로토콜 복잡성 상호 운용성 장벽 (의미론적 불일치), 보안 구현 부담, 지점 간 확장성 딜레마 ("N-제곱 문제") 잠재적 상태 비저장 문제, 일대일 통신 제한, 초기 개발 단계
보완적 역할 개별 에이전트에 외부 도구/데이터 접근 제공 에이전트가 서로를 탐색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함 복잡한 작업에서 에이전트가 함께 작동하는 방식 조정